Kibana는 각종 다양한 로그에 대해 차트, 게이지, 지도, 그래프 등을 통해 대시보드를 제작할 수 있으며,하고, 분석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.
Kibana는 Elasticsearch의 인덱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쿼리(KQL, Lucene 방식)하여 가져오는 방식이기 때문에 Elasticsearch와 연동이 되어야 한다.
* 예를 들어, /var/log/nginx/access.log 로그를 Kibana에서 보고 싶다면
1. Filebeat로 해당 경로의 로그를 수집
2. Logstash로 전송(filter plugin을 통해 가공)
3. Elasticsearch로 전송 (logstash-* 인덱스 생성)
3. Kibana에서 logstash-* 인덱스를 선택하여 조회
그리고 Kibana는 다양한 방식으로 Log를 시각화 할 수 있는데 방식은 아래와 같다
Kibana의 Data시각화 방식
Discover
Discover를 활용하면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고, 필터링 할 수 있으며, 로그 필드 구조에 대해서도 알 수 있고, 이들을 통해 아래처럼 결과를 시각화해 표시할 수 있다.

Visualize
Visualize는 다양한 타입의 패널들을 만들 수 있는 기능이며, 패널을 만들고 Dashboard라는 기능을 통해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.

Dashboard
Dashboard는 주로 데이터 모니터링에 특화되어 있으며 다양한 Pannel Editor 통해 만들어진 패널들을 사용자가 직접 각각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.

Canvas
Kibana Canvas기능의 경우 Dashboard와 유사하지만 차이점으론 보다 시각적표현과, 디자인 중심이라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.
사용자 스타일에 맞게 UI를 배치할 수 있으며, 주로 프레젠테이션이나 보고서를 작성할때 사용한다.

'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ubernetes환경에서 Filebeat + ELK를 활용한 Log Pipeline 구축 #3 Logstash편 (0) | 2025.03.20 |
---|---|
Kubernetes환경에서 Filebeat + ELK를 활용한 Log Pipeline 구축 #2 Filebeat편 (0) | 2025.03.19 |
Kubernetes환경에서 Filebeat + ELK를 활용한 Log Pipeline 구축 #1 Elasticsearch편 (0) | 2025.03.10 |
[NKS] ConfigMap을 활용한 사용자별 액세스 컨트롤 (0) | 2024.08.07 |
[NKS] IAM을 활용한 사용자별 액세스 컨트롤 (0) | 2024.08.07 |